본문 바로가기

Korean/한글 맞춤법34

[맞춤법] 오, 요, 이요 쓰임 구분하기/ 하오체, 해요체 - 개정안 반영 '~요' 어미 [이다], [아니다]의 어간 뒤에 붙어 어떤 사물이나 사실 따위를 열거할 때 쓰이는 연결 어미이다. 이것은 말이요, 그것은 소요, 저것은 돼지이다. 우리는 친구가 아니요, 형제랍니다. 조사 1) 주로 [해]할 자리에 쓰는 종결 어미나 일부 [하게]할 자리에 쓰는 종결 어미 뒤에 붙어 청자에게 존대의 뜻을 나타내는 보조사이다. 격식을 갖추어야 하는 상대에게는 잘 쓰지 않는다. 돈이 없어요. 기차가 참 빨리 가지요. 잠이 안 오는걸요. 새싹이 돋는군요. 늑장 부리다가는 차 시간을 놓치게요? 언니, 나를 모르겠어요? 친구가 많이 아프던가요? 2) 체언이나 부사어, 연결 어미 따위의 뒤에 붙어 청자에게 존대의 뜻을 나타내는 보조사이다. 날씨는요 더없이 좋아요. 어서요 읽어 보세요. 그렇게 해 주시.. 2022. 7. 12.
[맞춤법] 이에요, 이예요, 에요, 예요. 구분하기. 올킬! 1. 에요 VS 예요 [에요] 는 [~이다/~아니다] 의 어간 뒤에 붙어 설명 이나 의문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이다. 아니에요 O 아니+에요 결합 아니예요 X 아니었다 O 아니+었+다 결합 아니였다 X ※ 확장 ※ [에요]가 되는 자리에는 [어요]도 들어간다. [예요]가 되면 [여요]도 된다. 현재 아니에요 O 아니어요 O 아니예요 X 아니여요 X 아녀요 O 과거 아니었다 O 아니였다 X 아녔다 O 2. 이에요 VS 예요 [이에요]는 [이다]의 어간 ['이-']에 종결 어미 ['-에요']를 붙여 쓴 것이다. 받침이 없는 말 뒤에서 '예요'로 줄여 쓸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이에요] 준말은 [예요]이다. 그러나 항상 대체 가능한 것은 아니다. 앞말에 받침이 있는 경우, 무조건 [이에요] 을 사용해야 하며.. 2022. 7. 8.
[맞춤법] 밖에/마다/든지/라도 쓰임 및 띄어쓰기 다양한 보조사의 쓰임을 정확히 이해하고 띄어쓰기를 익힌다. 마다(조사) → 앞말에 붙여 쓴다. 낱낱이 모두 (주로 시간을 나타내는 말 뒤에 붙어) 앞말이 가리키는 시기에 한 번씩의 뜻을 나타낸다. ※ 저마다 = 각각의 사람이나 사물마다 (everything/each 번역) ※ [때], [마다] : [때]가 명사, [마다] 조사 → 붙여 쓴다. 든지 → 앞말에 붙여 쓴다. 든(든지의 준말) 어느 것이 선택되어도 차이가 없는 둘 이상의 일을 나열함을 나타내는 보조사. 사과든지 배든지 다 좋다. 누구든지 할 수 있다. 어디서든지 라도 → 앞말에 붙여 쓴다. 그것이 썩 좋은 것은 아니나 그런대로 괜찮음을 나타내는 보조사. 국수라도 좀 먹으렴. 냄새라도 맡아 보렴. 뭐 특별한 계획도 없으니 극장에라도 갑시다. 만.. 2022. 7. 3.
조사와 의존 명사 띄어쓰기(대로/만큼/뿐/만/지/양/체/척/만/법/듯/데/바) 조사(토씨) 주로 체언 뒤에 붙어 다른 단어와 문법적 관계를 표시하거나 그 말의 뜻을 도와주는 품사이다. 대표적인 조사로 '을/를', '이/가', '와/과', '에서', '에게', '로', '부터', '까지', '조차' 등이 있다. 체언과 반드시 붙여 쓴다. 조사끼리도 붙여 쓴다. 이처럼 집마저 집에서부터 나가면서까지도 들어가기는커녕 옵니다그려 학교에서만이라도 의존 명사 홀로 쓰이지 못하고 반드시 관형어 수식을 받아야만 문장에 쓰일 수 있는 명사를 말한다. '수', '것' , '줄', '대로', '뿐', '데', '리', '마리', '모금', '켤레' 등이 있다. 의존 명사는 명사 취급해서 반드시 띄어 쓴다. 나도 할 수 있다. 아는 것이 힘이다. 어떤 분이 선생님을 찾아오셨습니다. 그럴 리가 없다. 조.. 2022. 7. 2.
장애인 용어 차별과 비하 표현 피해가기. 올바른 사용법. 요즘 인기리에 방영 중인 안나를 보면서 언어 장애인을 표현하는 용어를 확실히 짚어 본다. 1회: 무용 학원 애들이 안나 집안이 가난하고 엄마는 벙어리라고 비하하는 장면이다. 자존심이 상한 안나는 무용 대회에 출전해서 트로피를 거머쥐고 애들 코를 납작하게 해주는데... 2회: 공식적인 자리에서 언어 장애인을 칭한 장면. 장애인 학생에게 장학금을 수여하는 상황에서 안나가 수어 통역을 자처하는 순간이다. '농아'라는 표현은, '聾(귀머거리 롱)'은 듣지 못하는 사람, '啞(벙어리 아)'는 말하지 못하는 사람을 의미한다. 듣지 못하는 사람은 말하지도 못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농아인이라고 묶어서 말하는 것이다. 말하는 데 문제가 없고 청각에만 문제가 있으면 농인이라 부르기도 하나 실제로는 엄격하게 구분하여 쓰지는 .. 2022. 7. 1.
한국어 숫자 세는 법 및 띄어쓰기 /[째] 띄어쓰기 기수: 수를 나타내는 데 기초가 되는 수. 십진법에서는 0에서 9까지의 정수를 이른다. 서수: 사물의 순서를 나타내는 수. 종류 특징 구분 계통 예시 양수사 수량 정수 고유어 하나, 둘, 셋, 넷, 다섯, 여섯, 일곱, 여덟, 아홉, 열, 열하나, 열둘, 열셋, 열넷, 열다섯, 스물, 서른, 마흔, ... 한자어 일, 이, 삼, 사, 오,육, 칠, 팔, 구, 십, 십일, 십이, 십삼, 십사, 십오, 이십, 삼십, 사십, ... 부정수 고유어 한둘, 두셋, 서넛, 네댓(너덧/너더댓), 대엿(대여섯), 예닐곱, 일여덟(일고여덟), 여덟아홉, 열... 한자어 일이, 이삼, 삼사, 오륙, 칠팔, 팔구,... 종류 특징 구분 계통 예시 서수사 순서 정수 고유어 첫째, 둘째, 셋째, 넷째, 다섯째,... 한자어 제.. 2022. 6.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