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orean/한글 맞춤법

장애인 용어 차별과 비하 표현 피해가기. 올바른 사용법.

by hi_amie 2022. 7. 1.



요즘 인기리에 방영 중인 안나를 보면서
언어 장애인을 표현하는 용어를 확실히 짚어 본다.


1회: 무용 학원 애들이 안나 집안이 가난하고 엄마는 벙어리라고 비하하는 장면이다.
자존심이 상한 안나는 무용 대회에 출전해서 트로피를 거머쥐고
애들 코를 납작하게 해주는데...


2회: 공식적인 자리에서 언어 장애인을 칭한 장면.
장애인 학생에게 장학금을 수여하는 상황에서 안나가 수어 통역을 자처하는 순간이다.


'농아'라는 표현은, '聾(귀머거리 롱)'은 듣지 못하는 사람, '啞(벙어리 아)'는 말하지 못하는 사람을 의미한다. 듣지 못하는 사람은 말하지도 못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농아인이라고 묶어서 말하는 것이다. 말하는 데 문제가 없고 청각에만 문제가 있으면 농인이라 부르기도 하나 실제로는 엄격하게 구분하여 쓰지는 않고 보통 농아인을 줄여서 농인이라고 한다.
'귀머거리', '벙어리'라는 단어는 비하하는 느낌이 있다고 하여 '농아인', '농인', '청각장애인' 이라 칭하고 있다 (나무위키)



#장애인 올바른 용어 사용법, 번역법

영어 올바른 사용법
Persons with Disabilities O
handicapped X 과거 용어, 비하 용어

한국어 올바른 사용법
장애인 O
장애우, 불구자 X

벙어리 X 언어 장애인 O
귀머거리 X 청각 장애인 O
장님, 소경, 봉사, 맹인 X 시각 장애인 O
정신 지체, 저능아 X 지적 장애인 O
불구자 X 지체 장애인 O






‘장애관련 올바른 용어 가이드라인’

1. 장애관련 올바른 용어 가이드라인
바른 용어 가이드라인은 장애 관련 용어에 대해 과거 법에서 사용했던 과거용어, 비하용어, 자제용어 3가지로 구분하였고, 이에 대한 바른용어(법적용어)를 제시합니다.

가. 비장애인이 바른용어이며, 정상인은 비하용어이고 일반인은 자제용어입니다.
나. 장애인이 법적용어이며, 장애자·심신장애자는 과거용어이고 애자·불구자·병신·불구는 비하용어이고 장애우는 자제용어입니다.
다. 시각장애인이 법적용어이며, 맹인은 과거용어이고 애꾸는·외눈박이는 비하용어이고 장님·소경·봉사는 자제용어입니다.
라. 청각장애인이 법적용어이며, 귀머거리는 비하용어입니다.
마. 언어장애인이 법적용어이며, 말더듬이·벙어리는 비하용어입니다.
바. 안면장애인이 법적용어이며, 언청이는 비하용어입니다.
사. 지적장애인이 법적용어이며, 정신지체인·정신박약자는 과거용어이고 백치·저능아는 비하용어입니다.
아. 지체장애인이 법적용어이며, 지체부자유자는 과거용어이고 찐다·절름발이·앉은뱅이·불구자·꼽추는 비하용어입니다.
자. 뇌전증장애인이 법적용어이며, 간질장애인은 과거용어입니다.

2. 부적절한 용어에 대한 대체용어 제시
장애관련 관용표현이나 속담은 오래전부터 구전되어 무의식적으로 비판 없이 받아들이는 경우가 있으나 사용하지 말아야 하며, 일부 부적절한 표현에 대한 대체표현을 제시합니다.

가. 장애는 질병이 아니라 질병의 후유증상이므로 ‘장애를 앓다’는 ‘장애를 갖다’로 사용해야 합니다.
나. ‘절름발이 행정’ 등 절름발이를 포함한 관용표현에서 ‘절름발이’는 ‘불균형적인’ 또는 ‘조화롭지 못한’으로 대체할 수 있습니다.
다. ‘귀머거리 삼 년’과 ‘벙어리 삼 년’은 ‘인내의 시간을 보내고’로 대체할 수 있습니다.
라. ‘꿀 먹은 벙어리’는 ‘말문히 막힌’이나 ‘마음속에 있는 생각을 말하지 못하는’으로 대체할 수 있습니다.
마. ‘벙어리 냉가슴 앓다’는 ‘가슴앓이하다’ 또는 ‘마음속에 있는 생각을 말하지 못하는’으로 대체할 수 있습니다.
바. ‘벙어리장갑’은 ‘손모아장갑’이나 ‘엄지장갑’으로 대체할 수 있습니다.
사. ‘장님 코끼리 다리 만지기’는 ‘일부만 알면서 전체를 알 듯이’ 또는 ‘주먹구구식’으로 대체할 수 있습니다.
아. ‘눈 뜬 장님’은 ‘무엇을 보고도 제대로 알지 못하는 사람’으로 대체할 수 있습니다.
자. ‘눈먼 돈’은 ‘대가없이 얻은 돈’이나 ‘임자(주인)없는 돈’으로 대체할 수 있습니다.
차. ‘외눈박이의 시각’은 ‘왜곡된 시각’이나 ‘편파적인 시각’으로 대체할 수 있습니다.
카. ‘외눈박이 방송’은 ‘편파 방송’으로 대체할 수 있습니다.

출처: 장애인먼저실천운동본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