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찧다

활용형: 찧어. 찧으니. 찧는. 찧소

1. 곡식 따위를 잘게 만들려고 절구에 담고 공이로 내리치다.

예시) 방아로 곡식을 찧다
보리살을 찧어서 죽을 쑤다
공이대 앞에 엎어져 있는 절구에는 찧다만 보리가 조금 들어 있었다. 

2. 무거운 물건을 들어서 아래 있는 물체를 내리치다. 

예시) 쇠달구로 쇠붙이를 마구 찧었다

3. 마주 부딪다. 세게 부딪다. 

예시) 전신주에 이마를 찧다.
그는 기둥에 머리를 쿵쿵 찧으며 자책했다. 

 
※ 우리말 차이점 알기

떡을 치다.
떡을 찧다.
떡을 빻다. 

※ 신체 관련 "찧다"

잘못해서 방앗공이에 손을 찧었다.
문에 손을 찧었다. 
벽에 시계를 걸려고 마치질하다가 손을 찧었다. 
그는 못을 박으려다 망치로 손을 찧었다.
떨어지는 짐에 발등을 찧었다.
돌부리에 걸려 코방아를 찧었다. 
차가 덜컹덜컹할 때마다 승객들은 들썩들썩 엉덩방아를 찧었다. 
그는 눈길에서 몸을 한번 뒤뚱하더니 그대로 엉덩방아를 찧었다. 
맨땅에 엉덩방아를 찧었다. 
 
 
출처: 표준국어대사전, 고려대한국어대사전
 
 

반응형
728x90

[딴] 의존명사

자기 나름대로의 생각이나 기준.

 

  • 주로 [인칭 대명사 + 딴은, 딴에는, 딴으로는] 꼴로 쓰인다.
  • 혼자 쓰이지 못하고 반드시 그 앞에 꾸밈말이 있어야 한다. 
  • 앞말과 띄어 쓴다. 

 

딴은, 딴에는, 딴으로는

예시문: 

내 딴은 최선을 다했다

제 딴에는 잘하는 일이라고 여기고 한 일이다

그 사람은 자기 딴으로는 무슨 큰 공이라도 세운 것으로 생각한다

 

 

 

의 차이 

 

[깐]  명사

1. 딴의 방언 O

2. 방언 X, 일의 형편 따위를 속으로 헤어라 보는 생각이나 가늠

 

저희들 깐에도 보통 때와는 그 기색이 다른 것을 살피고는 기침 하나 아니 하고 영신을 쳐다본다. 심훈, 상록수

그래 미안한 깐에 한마디의 사과를 안 할 수가 없다. 이기영, 신개지

 

 

출처: 우리말샘

 

반응형
728x90

[정리 정돈] 띄어쓰는 것이 맞다.! 

정리 

명사

흐트러지거나 혼란스러운 상태에 있는 것을 한데 모으거나 치워서 질서 있는 상태가 되게 함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종합함

문제가 되거나 불필요한 것을 줄이거나 없애서 말끔하게 바로 잡음

다른 사람과의 관계를 지속하지 아니하고 끝냄

은행과의 거래 내역을 통장에 기록으로 나타냄

정돈

명사

어지롭게 흩어진 것을 규모 있게 고쳐 놓거나 가지런히 바로잡아 정리함

 

활용

1. [정리 정돈 하고] 띄어쓰기

온라인 가나다: '정리 정돈'은 구 구성으로서, '정리 정돈(을) 하다'의 구조로 쓰이므로 '정리 정돈 하고'로 띄어 씁니다.

 

2. [서류를 정리하다/정돈하다] 

출처: 우리말샘/온라인가나다

반응형
728x90

틈틈 - 이

(부사)

1. 틈이 난 곳마다

2. 겨를이 있을 때마다

 

▲ 유의어

틈틈이

짬짬이

참참이

샅샅이

구석구석이

 

  예시 구절

문풍지를 틈틈이 붙이다.

틈틈이 비어 있던 좌석.

방바닥의 갈라진 곳을 틈틈이 바르다.

 

남모르게 틈틈이

틈틈이 사들인 책

틈틈이 그린 초상화

일을 돕는 틈틈이 

틈틈이 저축한 돈으로 

 

  맞춤법 

틈틈이? O

틈틈히? X 

 

한글 맞춤법 6장 1절 51항 

부사의 끝음절이 분명히 ‘이’ 로만 나는 것은 ‘ -이’ 로 적고,

‘히’로만 끝나는 것은 ‘이’나 ‘히’로 나는 것은 ‘-히’로 적는다.

‘틈틈이’는 ‘이’ 끝나는 경우이므로 ‘틈틈이’로 적는다.

 

→ '이'로 끝나는 예시: 깨끗이, 틈틈이, 반듯이

→ '히'로 끝나는 예시: 열심히, 솔직히, 답답

 

 

반응형
728x90

 

대로

※품사에 따라 띄어쓰기가 다르다.

 

의존명사 → 앞말과 띄어 쓴다
형태: 용언의 관용사형 + 대로
의미:
어떤 모양이나 상태와 같이
어떤 상태나 행동이 나타나는 그 즉시
어떤 상태가 매우 심하다는 뜻
할 수 있는 만큼 최대한
예시문:
책을 읽고 난 뒤에는 원래 놓여 있던 대로 꽂아 두십시오.
서울에 도착하는 대로 집으로 전화를 하거라.
아이가 우유를 먹는 대로 토해서 병원에 갔다.



조사 → 앞말과 붙여 쓴다.
형태: 체언(명사/대명사/수사) + 조사
의미:
앞에 오는 말에 근거하거나 달라짐이 없음
따로따로 구별됨
예시문:
법대로 해라
큰 것은 큰 것대로 따로 모아 두다.





※ 자주 쓰는 표현 ※

들은대로 대 들은 대로

'들은대로' 와 '들은 대로' 중 맞는 띄어쓰기는?

'들은 대로'처럼 띄어 써야 합니다. "나는 상사에게 들은 대로 전했다."처럼 씁니다.
'좋을 대로', '가는 대로'와 같이 형용사나 동사 뒤에 오는 '대로'는 의존명사입니다.
의존명사는 혼자 쓰이지 쓰지 못하지만 문법적으로 하나의 독립적인 단어이기 때문에 '들은 대로' 처럼 항상 앞말과 띄어 쓰여야 합니다. 이와 달리 '계획대로', '네 말대로' 처럼 명사 뒤에 오는 '대로'는 조사로서 앞말과 반드시 붙여 써야 합니다. 이제 '대로'의 앞에 형용사나 동사가 올 때는 앞말과 띄어서 쓰고/ 명사가 올 때는 앞말과 붙여서 쓰세요.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

 

 


나름 대로 대 그 나름대로

 

 


출처:
국립국어원 온라인가나다
표준국어대사전
고려대한국어대사전

반응형
728x90



 

~ 만큼  
품사에 따라 띄어쓰기도 달라진다.

1. 앞말과 띄어 쓰는 유일한 경우

~ 만큼
의존 명사 : 띄어 쓴다.
1. 주로 어미 '~은, 는, 을' 뒤에 쓰인다.
앞의 내용에 상당한 수량이나 정도임을 나타낸다.
- 노력한 만큼 대가를 얻다.
- 아들에게 희망을 건 만큼 실망도 컸다.

2. 주로 어미 '~은,는,던' 뒤에 쓰인다.
뒤에 나오는 내용의 원인이나 근거가 됨을 나타낸다.
- 어른이 심하게 다그친 만큼 그의 행동도 달라져 있었다.
- 아버지가 야단친 만큼 아들의 행동도 달라졌다.



2. 앞말과 붙여 쓰는 경우

~ㄴ만큼
연결 어미: 모음이나 '~로' 끝나는 형용사, '이다'의 어간/ 선어말 어미 '으시' 뒤에 붙는다.
앞절의 사실을 인정하면서 그것이 뒤 절에 대한 원인이나 근거가 됨을 나타낸다
- 네가 타인에게 친절한만큼 그들도 너를 잘 대해 줄 것이야.

 

~ㄹ만큼
연결 어미: 모음이나 'ㄹ'로 끝나는 용언, '이다'의 어간/선어말 어미 '-으시' 의 뒤에 붙어서 그러할 정도로의 뜻을 나타낸다.
- 이 음식은 둘이 먹다 한 명이 죽어도
모를만큼 맛있다.
~ 만큼
조사 : 붙여 쓴다.

체언 바로 뒤에 쓰인다.
앞말과 비슷한 정도나 한도임을 나타낸다.
- 집을  대궐만큼 크게 짓다.

 

만치

1. 의존 명사
앞의 내용에 상당한 수량이나 정도임을 나타낸다.
- 일하는 시간이 많은 만치 보수가 많다.
뒤에 나오는 내용의 원인이나 근거가 됨을 나타낸다.

2. 조사
앞말과 비슷한 정도나 한도임을 나타내는 격 조사이다.
- 나도 너만치 먹었다.

※ 만치는 만큼과 유의어이며,
ㄴ만치 띄어쓰기 규칙은 ㄴ만큼과/ ㄹ만치는 ㄹ만큼 규칙과 동일하다.





참고사항

1. '~니만큼'

그러니만큼 O
그러니 만큼 X

2.

기회인 만큼 의존 명사 '만큼' O
기회인만큼   X
기회이니 만큼 연결 어미 '니만큼' X
기회이니만큼   O
기회니만큼 연결 어미 '니만큼', 서술격 조사 '이' 생략 O
기회니 만큼   X

 


3. 중요!

그런 만큼 O
그런만큼 X



4. 조사+조사

네게만큼 O
네게 만큼 X




드디어 알겠다.!!!

반응형

+ Recent posts